Web04 :: browser에서의 웹 개발
브라우저에서 웹 개발.
브라우저 하면, 엣지 브라우저, 사파리 같은 브라우저 통해서 인터넷 들어간다.
웹 사이트 , 크롬 브라우저 개발자 도구를 연다.
코드가 잘 동작하는지 브라우저를 열고 확인을 한다.
크롬 개발자 도구를 통해서 어떤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 = 디버깅, 디버깅 과정을 위해서 개발자 도구가 필요하다.
Network - 새로고침 단계
www.amazon.com 을 enter를 치는 순간 서버로 요청이 가는 것이다.
서버에서 응답 값을 준 값들을 response 항목에서 볼 수 있다.
response가 서버에서 첫번째 보내준 소스코드라고 할 수 있다.
용량을 줄이기 위해서 압축 하기도 한다.
meta 태그 = 문서가 어떤 것인지 브라우저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ex) utf-8 이런것처럼
html안에 자바스크립트 css가 복잡하고 불규칙적으로 다뤄지고 있다는것을 알수있다.
html은 계층적이다.
html은 tag를 사용해서 표현한다.
body에는 이제 화면에 표현되야 될 div나 이런 것들을 포함하게 되어있다.
html은 계층적으로 존재한다. html은 태그를 이용해 사용한다.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06 :: HTML Layout 태그 (1) | 2019.01.03 |
---|---|
Web05 :: WAS (0) | 2019.01.03 |
Web03 :: browser의 동작 (0) | 2018.12.31 |
Web02 :: Front-end 와 Back-end (0) | 2018.12.31 |
웹의 동작(HTTP 프로토콜 이해) (0) | 2018.12.29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Web06 :: HTML Layout 태그
Web06 :: HTML Layout 태그
2019.01.03 -
Web05 :: WAS
Web05 :: WAS
2019.01.03 -
Web03 :: browser의 동작
Web03 :: browser의 동작
2018.12.31브라우저 엔진 : 소스코드를 화면에 실행해서 보여줌, 브라우저 소프트웨어를 동작시켜주는 핵심엔진 렌더링 엔진 : 화면에 직접 위치 잡고 색칠 해주는, 픽셀단위로 어떤게 그려져서 눈으로 다양한 형태를 볼수가 있다. 데이터 관리 영역 : 브라우저 캐시 를 한다. 브라우저는 http를 통해서 웹 서버 특정 인터넷 주소를 해석한 다음에 그 주소로 통신을 한다. 자바스크립트 인터프레터 : 자바스크립트 코드 해석 UI Backend : UI를 처리하는 백엔드 영역이 있다. * 렌더링 엔진 파이어 폭스의 Gecko, 사파리엔진의 Webkit, Chrom이 오픈하는 Blink 이런것들이 있다. 브라우저 별로 가지고 있다. 브라우저 엔진의 메인 플로우 HTML 파싱을 한다. 문자단위로 해석을 해서 이 내용 의미 파악. … -
Web02 :: Front-end 와 Back-end
Web02 :: Front-end 와 Back-end
2018.12.31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