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

인텔리제이를 사용하였습니다. Gradle 에서 Java를 선택하고 Next를 진행합니다.

 

프로젝트 이름을 기입합니다.

 

프로젝트 이름을 기입하고 Finish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하기 처럼 프로젝트 Directory 구조가 생성됩니다.

 

build.gradle을 설정할 때 아래처럼 설정해주었습니다.

dependencies 까지 플러그인 의존성 관리를 위한 설정입니다. 의존성을 선언하여 사용합니다.

오른쪽 상단의 코끼리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정의한 build.gradle를 확인하고 설치하게 됩니다. 

 

패키지를 설치 완료되면 실제로 Gradle 안에서 무엇이 설치됬는지 직접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github과 연동할 수 있다. 아래 화면의 명령어를 수행 후 Share Project on Github 을 입력해줍니다.

이 작업을 통해 github과 연동을 수행합니다.

또, github에 코드 형상 관리시 .gitignore 를 위해 Plugins에서 .ignore를 설치합니다. 

아래 화면에서 보이는것처럼 파일 생성 시 편리하게 ignore 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코드 commit 할때는 command+K를 사용합니다. 

마찬가지로 push할때는 command + shift + k 를 사용합니다.

이제 프로젝트에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보자. 

프로젝트 디렉토리 구조를 확인해보면

src 밑에 main과 test 가 있습니다. 

우리는 test 부분에 코드를 삽입하여 main의 Application 실행 전에 잘 작동하는지 확인해볼 것입니다. 

하기 스크린샷 처럼 구성되어 있지 않다면 우클릭 > Package 생성 하여 프로젝트 이름으로 만들고 HelloControllerTest를 추가해주자.

실제 HelloControllerTest는 아래처럼 구성됩니다. 

여기서 Annotation에 대한 내용은 Spring Boot 내용을 스터디 할 예정입니다. 

다만, 여기서 MockMvc 를 사용한것은 웹 API를 테스트할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hello 라는 get요청을 통해서 체이닝을 가지고 이어서 선언하며 수행 결과가 200(정상 작동) 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동작시켜 보면 아래처럼 잘 동작 합니다. 

 

그대로 Main으로 넘어가 Application 을 동작시켜 주었습니다. 

Application.java

HelloController.java

8080 포트로 열리는것을 확인할 수 있고, http://localhost:8080/hello 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dis

접속 하는 과정에서 dispatcherServlet이 사용자 요청에 따라 Controller로 분기해준것을 확인해줄 수 있습니다.

접속이 아주 잘된다. 이어서 롬복에 대한 내용을 공부하겠습니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예제  (0) 2021.12.10
객체지향 설계와 스프링  (0) 2021.12.09
Spring03 :: Spring boot에 필요한 설정  (0) 2020.09.07
Spring02 :: Spring boot jar 파일 배포  (0) 2020.08.21
Spring01 :: Spring  (0) 2020.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