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08 :: 네임서버
네임 서버는 DNS 서버라고도 합니다. 우리가 인터넷에 접근할때 기본적으로 URL을 사용하게 되는데 실제 원하는 서버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URL을 해당 컴퓨터의 IP주소로 변환시켜야 합니다. 이 작업을 수행하는것을 네임 서버 혹은 DNS 서버라고 합니다. URL을 입력했을때 hosts 파일을 검색해서 해당 URL에 대응하는 IP주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컴퓨터 수가 많아지면서 이름 해석을 전문으로 하는 서버 컴퓨터가 필요해졌고 이를 네임 서버 혹은 DNS서버라고 합니다.

nsloopup 뒤 server 치면 네임 서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외에도 각 포털 사이트의 아이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네임 서버를 수정하고 쿼리를 날리게 되면 웹사이트에서 URL에 따른 리다이렉팅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네임 서버 아이피를 명확하게 기입하는것이 중요합니다.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기본 (0) | 2021.12.07 |
---|---|
인터넷 네트워크 (1) | 2021.12.07 |
Network07 :: OSI 7 계층 (0) | 2020.09.26 |
Network06 :: 서브넷마스크(3) (0) | 2020.09.02 |
Network05 :: 서브넷 마스크(2) (0) | 2020.09.02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HTTP 기본
HTTP 기본
2021.12.07 -
인터넷 네트워크
인터넷 네트워크
2021.12.07 -
Network07 :: OSI 7 계층
Network07 :: OSI 7 계층
2020.09.26ㅡ. OSI 7 계층이 무엇인지? 네트워크 통신에서 일어나는 과정을 7 레이어로 나눈 것입니다. ㅡ. OSI 7 계층을 나누는 이유 흐름을 파악하기 쉽고, 사람들이 이해하기 쉬운 장점이 있습니다. ㅡ. 각 계층별 특징 1) 물리계층 대표적으로 케이블, 허브 등이 있습니다.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는 데이터 전송 역할을 전기적신호를 이용하는것을 의미합니다. 데이터 전송 계층 : 단지 데이터 전달(0,1 비트열) 2) 데이터링크 계층 대표적으로 브릿지, 스위치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맥(Mac) 주소를 이용해서 통신하게 됩니다. 전송되는 단위는 프레임이라고 합니다. 물리계층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하는 역할을 진행합니다. 전반적으로 에러검출, 재전송… -
Network06 :: 서브넷마스크(3)
Network06 :: 서브넷마스크(3)
2020.09.02ㅡ. 시작 공인 IP주소 210.100.1.0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에서 호스트 30개를 포함할 수 있는 네트워크 4개를 생성해야 한다면 어떠한 서브넷 마스크를 만들어야 할까? 1. 모든 호스트에게 보낼 메시지가 존재한다면 주소를 210.100.1.255 를 사용해서 210.100.1.0 네트워크의 모든 호스트에게 전송합니다. 2. 호스트의 수는 호스트 비트 수가 커지면 커질수록 증가합니다. 사용가능한 호스트 수 : 2^(호스트 비트 수)-2, 최소 5는 되어야 30개의 호스트 수가 나온다는 의미입니다. 3. 210.100.1.0 에서 210.100.1.0000 0000이 되고 210.100.1.aaabbbbb (a는 서브넷, b는 호스트가 됩니다.) 호스트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증…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