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03 :: Ip(2) 2020.09.02 17:10 Computer Science/Network ㅡ. IP주소 활용 TCP/IP 통신 경우 라우터의 각 인터페이스에 IP주소를 부여합니다. 기본 게이트웨이 = PC마다 기본 게이트웨이가 세팅되어 있고, 이를 통해 인터넷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같은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에서는 라우터 없이 통신이 가능합니다. 통신을 할때 우선적으로 내부 네트워크를 확인하고 없으면 기본 게이트웨이를 타고 인터넷을 통해 밖을 바라보게 됩니다. 즉, 라우터의 이더넷 인터페이스가 됩니다. 기본 게이트웨이 = 라우터의 이더넷 인터페이스 스위치나 허브에 IP주소를 배정하는것은 관리를 위한것이지 주소를 배정하지 않아도 통신에는 전혀 지장이 없습니다. Layer 3 스위치는 IP를 제대로 줘야 합니다. * Layer2 : Data Link Layer로, 이더넷 프로토콜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Frame 단위로 전송합니다. 이더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네트워크의 모든 호스트에게 전달됩니다. * Layer3 : Network Layer로, IP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달 경로를 제어합니다. 공유하기 URL 복사카카오톡 공유페이스북 공유엑스 공유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꽥블로그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05 :: 서브넷 마스크(2) (0) 2020.09.02 Network04 :: 서브넷 마스크(1) (0) 2020.09.02 Network02 :: IP (0) 2020.09.02 Network01 :: 서브넷 마스크 (0) 2020.08.22 OS01 :: 1장 (0) 2020.04.25 댓글 공유하기 다른 글 댓글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글 공유하기 구독하기 구독하기 카카오톡 카카오톡 라인 라인 트위터 트위터 Facebook Facebook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밴드 밴드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Pocket Pocket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Network05 :: 서브넷 마스크(2) Network05 :: 서브넷 마스크(2) 2020.09.02 Network04 :: 서브넷 마스크(1) Network04 :: 서브넷 마스크(1) 2020.09.02 Network02 :: IP Network02 :: IP 2020.09.02 Network01 :: 서브넷 마스크 Network01 :: 서브넷 마스크 2020.08.22 다른 글 더 둘러보기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